mignolet
mignolet|Apr 07, 2025 13:09
저는 이번 주 연준이 긴급 발표를 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고 생각합니다. 그게 아니라면 5월 FOMC에서 공식적인 금리 인하 및 QE 를 실행할 것입니다. 그 이유(근거)를 설명하겠습니다. 1. 연준은 한국 시간으로 오후 11시 30분 비공식 긴급 회의를 개최합니다. 주요 의제가 연방준비은행의 할인율(Discount Rate) 조정을 검토하기 위한 비공개 회의입니다. 할인율 관련 논의는 유동성 정책가능성이 높습니다. 2. 왜 긴급 회의를 열까? - MOVE(채권 변동성 지수) 급격히 상승합니다. (2번 사진) 이 지수는 연준이 죽어도 방어 하려는 가장 중요한 지수 중 하나입니다. MOVE가 상승하면, 금융 전체 시스템이 흔들립니다. 레버리지와 관련이 있고, 붕괴됩니다. 레버리지 기반 채권 운용자가 모두 위험합니다. (헤지펀드, 은행 , 보험 , 연금) 3. MOVE 지수가 상승하면 비공식 회의를 개최했었습니다. 대표적인 예시(자주 발생하지 않음) A.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(GFC) 당시 - 2008년 10월 6일 조치 : 유동성 창구 긴급 확장 B. 20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 초기 - 2020년 3월 15일 조치 : - 예정된 FOMC보다 앞서 금리 1%포인트 인하 - 무제한 QE 선언 C. 2023년 3월 SVB 붕괴 직후 - 2023년 3월 12일 조치 : -BTFP (Bank Term Funding Program) 즉시 도입 -은행들의 국채·MBS 손실을 막기 위한 창구 제공 모두 MOVE 가 급등한 시기에 비공식 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.(2번 사진) 4. 모두 비공식 회의 이후 2일 후에 긴급 발표를 하였고, 유동성과 관련된 정책을 발표합니다. 5. 이러한 근거(이유)로 저는 이번 주 긴급 발표를 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 6. 제 관점은 변함없습니다. 설계된 위기이며, 트럼프는 자신감이 넘칩니다. 공개적으로 압박하고 있습니다. 7. 가장 중요한 것은, 예상하지 못한 위기가 터져 긴급 수혈을 하는 게 아닙니다. 그래서 상황이 조금 다릅니다. 8. 판단은 여러분들이 하시면 됩니다. 극단이라면 반대 상황도 극단일 것이고, 가짜 위기라면 상황은 빠르게 호전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 9. 실제로 긴급 발표가 이뤄지면, 설계된 위기는 완벽하게 성공하고, 명분이 생긴 트럼프는 관세 정책에 대해 변화를 줄 것입니다.
+6
Mentioned
Share To

Timeline

HotFlash

APP

X

Telegram

Facebook

Reddit

CopyLink

Hot Reads